엠폭스 예방

엠폭스 위기경보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 엠폭스 환자 국내 발생 사례 증가에 따라 엠폭스의 위기경보수준을 '주의' 단계로 상향 조정합니다.('23.4.13.~). 주요 대응 조치 ⊙ (역학조사) 감염원 파악을 위한 심층 역학조사로 추가 감염자 발생 조사. ⊙ (환자·접촉자 등 관리) 증상 발생 모니터링 및 밀접 접촉자에 대한 백신접종 권고 강화. ⊙ (교육·홍보) 의료진, 성소수자 커뮤니티 등 중심으로 예방수칙 안내 및 교육 실시, 의심 증상 발생 시 신고 독려. ⊙ (진단·백신·치료제) 기 확보 중인 진단시약, 백신, 치료제 등으로 대응하되, 환자 증가 대비하여 필요시 추가 확보. * 호흡기로 전파되는 코로나 19, 메르스 등과 달리 엠폭스는 대부분 밀접한 피부접촉(성접촉 등)을 통해 제한적인 전파가 특징인 질환으로 일반 인구집단에서의 대규모 전파 가능성은 낮습니다. * 의심환자와 밀접접촉으로 의심증상이 있을 시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상담받아 주시고, 모르는 사람들과 밀접한 접촉(피부·성접촉)을 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엠폭스 예외는 없습니다. ○ 엠폭스 안내문 ○ '질병관리청은 환자 진단·치료와 접촉자 관리 등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조치 중이며, 국내 유입 및 확산을 막기 위해 24시간 대비하고 있습니다. ○ 엠폭스 의심증상 발생 시 행동요령 ○ ⊙ 엠폭스 의심증상이 있으면 실거주지 관할 보건소 또는 1339로 즉시 신고. ⊙ 방역당국의 조치사항 안내에 따름. ⊙ 엠폭스 의심증상이 있으면 진단 전까지 동거인을 비롯한 주위 사람들과의 접촉 삼가 - 침구, 식기, 컵 등 물품을 별도로 사용하고 가급적 생활공간 분리. ⊙ 가족, 동거인 등 보호를 위해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 철저 및 개인보호구 사용 - 피부병변을 긴 소매 및 바지 등으로 감싸 노출 최소화. - 일상생활에서도 마스크, 일회용 장갑 등 착용. ⊙ 의심증상자의 쓰레기 및 침구는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 - 확진 시 쓰레기는 폐기물로 별도 분리 배출하고 침구도 별도 세탁 시행. ⊙ 애완동물을 포함한 기타 동물과의 접촉 삼가.
○ 엠폭스 발생현황 ○ ⊙ 2023년 4월 18일 기준(WHO) 총 110개국에서 87,039명이 확진되었고 전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발생이 감소하고 있으나, 2023년 이후 일본과 대만을 포함한 서태평양 지역에서의 발생은 증가 추세 * (일본) 22년 8명 → 23년 103명(2월 중순부터 발생 증가), (대만) 22년 4명 → 23년 37명 ○ 엠폭스 확진자 주요 특징 ○ ⊙ 국외 엠폭스 확진 환자의 성별은 남성이 96.4%, 그중 18~44세의 남성이 79.2% 차지 *WHO, '23.4.18. 기준. ○ 엠폭스 주요증상 ○ ⊙ 국내 확진 환자의 주요 증상으로는 항문직장, 생식기, 구강, 결막, 요도 등의 피부·점막의 병면(발진이나 퀘양 등), 피부 통증(항문직장, 생식기 등)이 있으며, 발열, 두통, 림프절 비대 등도 나타남. ○ 엠폭스 예방수칙 ○ 1. 손 씻기 철저 및 오염된 손으로 눈, 코 입 등 점막 부위 접촉 삼가. 2. 익명의 사람과 밀접접촉(피부접촉, 성접촉 등) 삼가. 3. 다수의 상대와 밀접접촉(피부접촉, 성접촉 등) 삼가. 4. 엠폭스 의심증상자 피부병변(발진이나 딱지 등) 접촉 삼가. 5. 엠폭스 의심증상자 사용 물품(침구류, 수건, 의류, 세면대 등) 접촉 삼가

엠폭스 질병개요 및 예방 행동 수칙 다운로드

페이지만족도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성에 만족하시나요?

감염병 예방사업

엠폭스 예방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https://cheongdo.go.kr/open.content/ko/corona/diseases/mpox/ 입니다.

<엠폭스 예방> 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